산업

  • H
  • 산업
  • 산업개요
1. 개관

 

ㅇ 북한은 중화학공업 중심의 내부지향형 공업화를 추진하였음.

 

ㅇ 수력, 석탄, 철광석 등 내부에서 조달이 가능한 자원을 기반으로 전력, 금속, 화학, 기계 등 중화학공업을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였으며, 이들 자본재 부문에서 생산한 기계와 중간재를 농업, 경공업에 공급하여 식량과 소비재를 생산하여 주민에게 공급하는 내부적으로 완결된 산업구조를 구축하였음.

 

ㅇ 그 결과 북한은 소위 사회주의 공업화가 완료된 1970년대 말이 되면 효율성은 떨어지지만 에너지, 금속 및 화학소재, 기계, 소비재 및 농업, 그리고 서비스업에 이르는 나름대로 완결된 산업구조를 구축하였음.

 

- 금속, 화학 및 기계산업에 비해 농업, 경공업과 서비스산업의 발전 수준은 상대적으로 지연된 불균등한 발전이었음.

 

- 내부에서 조달하지 못하는 원유나 고무 등 원자재와 일부 기계류 등은 사회주의 국가로부터 유리한 조건으로 수입

 

ㅇ 북한산업의 성장은 1980년대가 되면 정체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에 붕괴에 가까운 후퇴를 하였음.

 

- 전력과 석탄, 철광석 에너지 및 원자재 공급의 감소, 사회주의 경제권의 붕괴에 따른 무역의 위축, 극심한 식량난에 따른 생산활동의 감소, 김일성의 사망에 따른 체제 작동 중단 등으로 전력과 금속 및 화학산업 등 중화학공업의 가동률이 급격하게 하락하였으며

 

- 중화학공업으로부터 에너지와 자본재를 공급받던 경공업 및 농업까지 위축되든 등 산업전반이 심각하게 위축되었음.

 

1990년대 말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 북한산업은 제한적이고, 불균등하지만 회복추세를 지속하였음.

 

2017UN 대북 경제제재 강화 이후 주요 산업의 생산은 다시 위축되고 있음.

 

<> 주요 산업 생산량 추이

 

발전량

석탄

생산량

철광석 생산량

곡물

생산량

시멘트 생산량

강철

생산량

1988

279

4,070

1,030

521

978

504

1990

277

3,315

843

402

613

336

1998

170

1,860

289

389

315

95

2002

190

2,190

408

413

532

104

2007

237

2,410

513

400

612

123

2008

255

2,506

532

431

642

128

2009

235

2,550

496

411

613

126

2010

230

2,500

509

-

628

128

2011

209

2,550

523

-

645

123

2012

215

2,580

519

468

645

122

2013

221

2,660

548

481

660

121

2014

216

2,709

547

480

668

122

2015

190

2,749

491

451

670

108

2016

247

2,920

575

482

708

122

2017

235

2,166

574

470

484

109

2018

249

1,808

328

456

583

81

2019

238

2,021

282

464

560

68

2020

239

1,900

258

440

569

73

2021

255

1,560

265

469

596

66

자료 : 북한경제통계포털(https://kosis.kr/bukhan/, 검색일 : 20221212)

 

 

2. 2000년대 이후 북한산업의 동향

 

산업별로 불균등한 회복

 

ㅇ 북한산업이 2000년대 이후 더디지만 회복추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산업별로 회복속도는 크게 차이가 남.

 

ㅇ 건설, 광업, 에너지 및 농업 등 비제조업 부문의 회복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제조업 특히 금속과 화학 등 중화학공업의 회복은 가장 더디게 진행되었음.

 

ㅇ 그 결과 금속 및 화학소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수입의존형 산업구조가 형성되었음.

 

** 2000년대 북한산업의 회복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는 이석기·김석진·김계환·양문수, 2000년대 북한의 산업과 기업-회복실태와 작동 방식,산업연구원(2010) 참조

 

김정은 시대, 제조업의 회복 조짐

 

2010년대가 되면 경공업, 기계, 일부 ICT 등을 중심으로 국영 제조업의 제한적인 회복과 성장 조짐이 나타났음.

 

ㅇ 대외무역의 확대로 전통적인 수출산업이었던 의류산업의 수출산업으로의 성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시장화의 진전 및 이에 의해 촉발된 중간계층의 성장 등으로 내수 시장이 성장하고, 이 내수시장을 대상으로 식품가공산업 등 소비재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하였음.

 

ㅇ 정보화의 진전과 수요 증가로 수입 부품 최종 조립 형태지만 ICT 제조업이 태동하였으며, CNC화와 소비재 시장의 성장 등을 배경으로 기계산업도 성장하기 시작하였음.

 

ㅇ 대규모 장치산업인 금속과 화학산업은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공급역량을 거의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 김정은 시대 북한산업 동향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는 이석기·변학문·나혜선,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산업 및 산업정책, 산업연구원(2018) 참조

 

UN 대북 경제제재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국경통제로 북한산업 다시 위기 국면

 

2017년 하반기 강화된 UN 대북 경제제재로 북한경제는 다시 위기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

 

ㅇ 무연탄, 철광석, 의류 등 핵심 수출품의 수출이 금지됨에 따라 북한의 수출산업은 사실상 붕괴되었음.

 

UN이 금속 및 금속제품, 기계 및 전자제품, 수송기계 등 핵심 자본재의 대북 수출도 통제함에 따라 북한은 신규 설비투자 및 기존 설비의 유지보수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북한산업 전반의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키고 있음.

 

ㅇ 수출산업이 붕괴되고, 주요 자본재의 수입이 봉쇄되는 상황에서도 제재대상이 아닌 섬유류, 식품류, 플라스틱 등 화학 중간재를 수입, 가공함으로써 내수형 경공업을 중심으로 산업생산을 어느 정도 유지하였음.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자 북한정부는 국경을 사실상 봉쇄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수입이 통제되지 않던 중간재의 수입까지 감소함에 따라 수입 중간재 가공 비중이 큰 경공업의 가동률까지 크게 하락

 

3. 산업구조

 

1980년대까지 북한은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30%를 넘어서는 구축하였으나 1990년대 경제위기에 따른 제조업 부문의 몰락과 그 이후의 상대적으로 느린 회복으로 제조업의 비중은 1980년대 이전에 비해 크게 축소되었음.

 

2000년대 북한정부는 제조업 기반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제조업 부문의 비중은 2000년의 17.7% 수준에서 201620.6% 수준으로 2.7%p 상승하는 데 그침

 

2017UN 대북 경제제재로 광업과 제조업이 집중적으로 타격을 받음에 따라 제조업의 비중은 다시 2000년대 초반 수준으로 회귀하였음.

 

- 특히 중화학공업이 경제가 제한적이지만 성장하던 시기에 여타 산업 및 경공업에 비해 더디게 성장함에 따라 1990년에 18%였던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2015년에는 13.4%까지 하락하였으며, UN 대북경제 제재 이후에는 더욱 하락하여 2021년에는 12.1%에 불과함.


 <표> 산업구조 변화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1

농림어업

27.4

27.6

30.4

25.0

20.8

21.6

22.4

23.8

광공업

40.8

30.5

25.4

25.9

36.3

32.7

28.1

28.3

광업

9.0

8.0

7.7

9.9

14.4

12.2

10.8

10.0

제조업

31.8

22.5

17.7

19.0

21.9

20.4

17.3

18.3

경공업

6.2

6.8

6.5

6.7

6.6

7.0

6.9

6.2

중화학공업

18.0

15.7

11.2

12.4

15.3

13.4

10.5

12.1

전기가스수도업

5.1

4.8

4.8

4.3

3.9

4.5

5.6

4.8

건설업

8.6

6.7

6.9

9.6

8.0

9.0

10.0

10.2

서비스업

18.0

30.3

32.5

32.2

31.0

32.2

33.8

32.9

정부서비스업

11.0

20.7

22.6

22.6

22.4

23.3

26.5

26.0

기타서비스업

7.0

9.6

9.8

9.6

8.6

8.9

7.3

6.9

자료 : 북한경제통계포털(https://kosis.kr/bukhan/, 검색일 : 20221212)

 

4. 업종 및 지역별 기업분포

 

2021년말 현재 노동신문 등 북한의 공식매체를 통하여 확인된 북한기업은 총 3,413개이며, 이중 제조업 기업이 2,776, 광업이 387, 에너지가 228개임

 

<> 산업별 북한기업 분포(2021년말 기준)>

업종

기업수()

비중(%)

에너지

228

6.7

광업

387

11.4

제조업

2,771

81.3

미상

22

0.6

3,408

100

자료 : 북한산업·기업DB(http://nkindustry.kiet.re.kr/index.do, 검색일=20221212)

 

ㅇ 지역별로는 평안남도(544, 16.0%)에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으며, 이어 평양직할시(538, 15.8%), 함경남도(397, 11.6%), 황해북도(323, 9.5%) 등에 많이 소재하고 있음.

 

<> 기업의 지역별 지역별 분포(2021년말 기준)>

지역

기업수()

비중(%)

강원도

211

6.2

량강도

102

3.0

자강도

269

7.9

평안남도

544

16.0

평안북도

359

10.5

평양직할시

538

15.8

함경남도

396

11.6

함경북도

324

9.5

황해남도

199

5.8

황해북도

336

9.9

미상

131

3.8

3,408

100

자료 : 북한산업·기업DB(http://nkindustry.kiet.re.kr/index.do, 검색일=20221212)

 

제조업 업종별 분포

 

ㅇ 전체 제조업 기업 2,771개의 업종별 분포를 보면 중화학공업이 44.7%1,238, 경공업이 55.3%1,533개임임.

 

ㅇ 주요 업종별 기업체 수를 보면, 중화학공업에서는 화학공업과 기계공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서 각각 448개와 297개가 확인되었음.

 

- 이는 화학 및 기계공업이 내부에 다양한 업종군을 포함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화학일용품공장이나 철제일용품공장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지방산업공장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임.

 

ㅇ 경공업에서는 식품가공업(음식료품 및 담배)과 섬유·의류업(신발·가방 포함)의 비중이 커서 각각 699개와 489개가 확인되었음.

 

- 식품가공업의 경우 곡산공장 등 원자재를 가공하는 일부 대규모 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소규모 지방산업공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유·의류업종에서는 섬유부문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의류부문은 대부분 중소규모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제조업 업종별 기업체 수

대분류

중분류

기업수()

비중(%)

경공업

음식료품 및 담배

699

25.2

섬유·의류(신발가방포함)

489

17.7

가구·목재·종이 및 잡제품

345

12.5

소계

1,533

55.3

중화학공업

화학

448

16.2

건재

256

9.2

1차 금속제조업

56

2.0

기계

297

10.7

수송기계

74

2.7

전기·전자

107

3.9

소계

1,238

44.7

합계

2,776

100

자료 : 북한산업·기업DB(http://nkindustry.kiet.re.kr/index.do, 검색일=20221212)

 

지역별 분포

 

ㅇ 존재가 확인된 전체 제조업체 2,771개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평양시에 가장 많은 기업소가 입지해 있는데, 평양시에는 전체 제조업체의 18.4%510개가 위치해 있음. 이어 평안남도(436, 15.7%), 함경남도(321, 11.6%), 평안북도(298, 10.8%) 등에 많이 소재하고 있음.

 

ㅇ 평양시와 평안남북도를 합하면 전체 제조업 기업의 44.9%1,244가 소재하고 있음.

 

ㅇ 대표적 공업도시 중 하나인 함흥시가 위치해 있는 함경남도에 전체 제조업의 11.6%321개가 위치해 있으며, 청진시가 위치해 있는 함경북도에는 8.8%244개가 위치해있음.

 

ㅇ 반면, 량강도와 강원도에는 각각 72개와 173개의 기업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다만, 량강도에는 노동신문 등에 동향 기사가 잘 보도되지 않은 군수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이 위치해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음.

 

<> 제조업체의 지역별 지역별 분포(2021년말 기준)>

지역

기업수()

비중(%)

강원도

173

6.2

량강도

72

2.6

자강도

190

6.9

평안남도

436

15.7

평안북도

298

10.8

평양직할시

510

18.4

함경남도

321

11.6

함경북도

244

8.8

황해남도

164

5.9

황해북도

274

9.9

미상

89

3.2

2,771

100

자료 : 북한산업·기업DB(http://nkindustry.kiet.re.kr/index.do, 검색일=20221212)

 

*작성 : 20221212